매일 사용되는 교통비는 가랑비에 옷 젖듯이 소리소문 없이 주머니를 빠져나가버립니다. 서울시에서는 이런 대중교통비의 부담을 줄어주고 탄소절감을 목적으로 '기후동행카드'를 출시했습니다. 이 카드에 대해 싸~악 정리해 보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란
월 6만 5000원으로 지하철, 버스, 마을버스 등 대중교통과 '서울자전거' 따릉이와 한강리버버스를 원스톱,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카드입니다.
언제부터 사용할 수 있나요?
기후동행카드는 2024년 1월~5월 시범운영을 거친 후에 같은 해 하반기부터 일반 시민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습니다.
어디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기후동행카드는 서울권역 내 지하철, 서울시 면허의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따릉이 및 2024년 9월부터 운영 예정인 한강리러버스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드는 어떻게 만드나요?
기후동행카드는 스마트폰 앱과 실물카드(3천 원)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충전으로 지속적으로 사용가능합니다.
왜 '기후동행카드'인가요?
기후위기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닌데요, 최근 각 국에서 이에 대한 문제점을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며 탄소 줄이기 활동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그 활동의 하나가 바로 대중교통 활성화입니다. 또한, 차량의 증가로 늘어나는 교통량은 교통혼잡을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와 사회간접자본(SOC) 증가를 야기시키고 있습니다.
기후동행카드는 글로벌 차원의 저탄소 운동에 함께 하고, 시민이동권을 보장하는 발판을 만드는 발판이 될 것입니다. 또한, 각종 요금과 에너지 비용 상승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는 새로운 시도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결되어야 할 점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기후동행카드는 수도권 대중교통 일부에서는 일단 사용이 안될 것으로 보입니다.
1. 사용가능
- 지하철: 1~9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분당선, 공항철도, 신림선
- 버스: 서울시 면허의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 따릉이 리버버스
2. 사용불가
- 지하철: 신분당선, 서울 권역 외 도시철도
- 버스: 경기버스, 인천버스, 광역버스, 심야버스
'기후동행카드'는 일부 개선되어야 할 점도 있지만, 저탄소 운동과 교통비 절감을 위해 시작되는 좋은 제도인 것 같습니다. 시범운영 후에 더 많은 보완을 해서 잘 시행되면 좋겠습니다.
'정보공유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0) | 2023.09.16 |
---|---|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총정리 (0) | 2023.09.14 |
'구직자 도약 보장 패키지' 사업 알아보기 (0) | 2023.09.12 |
'미래내일 일경험' 관련 총정리 (0) | 2023.09.11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방법 총정리(2023년) (0) | 2023.09.07 |